인공위성연구센터 소개 | 인공위성관련 정보 | 연구개발 | 인력 양성 | 연구개발시설 | 산업기술지원 | 정보나눔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인사말 설립목적과 비전 연혁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|
인공위성소개 - 인공위성 개요 - 주요 임무 - 내부구조 - 위성체조립 - 환경시험 - 발사 위성개발역사 |
우리별 위성 개발 - 우리별 1호 - 우리별 2호 - 우리별 3호 과학기술위성 개발 - 과학기술위성 1호 - 과학기술위성 2호 - 나로과학위성 - 과학기술위성 3호 차세대 소형위성 개발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 핵심우주기술 개발 - 다기능 구조체 - 고성능 탑재컴퓨터 개발 - 홀 추력기용 연료공급장치 - 리튬-이온 배터리 - 초소형 영상 분광기 - 고속데이터 시뮬레이터 과거수행 프로젝트 |
캔위성 체험·경연대회 뉴스페이스 리더 양성 - 사업 개요 - 사업 운영 - FAQ |
지상국 청정실 진동시험기 열진공 챔버 |
환경시험지원 - 진동시험 - 열진공/주기시험 |
공지사항 채용공고 사진자료실 |
전체메뉴닫기 |
위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유닛은 전자부품이 고정된 PCB가 금속구조물(Housing)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. 일반적인 전자유닛 금속 구조물은 열전도도, 우주방사능 차폐, 무게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. 하지만 최근에는 소형화/경량화 되어가는 위성개발의 추세에 발맞추어 기존의 금속구조물을 제거하여 무게와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 키되, 금속구조물이 갖는 장점은 그대로 살릴 수 있는 다기능 구조체 (Multi-Functional Structure, MFS)의 개념이 등장하였다.
다기능 복합재는 구조, 열제어, 전기/전자, 물리의 기술이 하나로 집약되어야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이다.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는 과학기술위성 3호 GPSR과 TAU 유닛의 기능을 다기능 구조체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.